서혜부탈장

서혜부탈장이란?

뱃속 내장은 자기 자리에 위치하여 복막으로 싸여 있지만 

압력 등의 원인에 의해서 본래 위치에서 벗어나 복벽의 약한 

부분으로 튀어 나오게 됩니다. 이를 탈장 (Hernia)이라고 부릅니다. 


마치 풍선을 불 때 약한 부분으로 튀어나오는 현상과 비슷합니다. 

튀어 나오는 위치에 따라 서혜부 탈장, 대퇴부 탈장, 제대 탈장, 

반흔(수술한 부분 또는 상처)탈장 등이 있으며, 

치료 하지 않으면 조직 괴사나 장폐색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탈장의 원인

유아의 경우에는 태생기에 있던 복막 주머니가 완전히 막히지 못하고 약하게 맞물려 있다가 어떤 충격에 의해서 그 곳을 통해 장이 밀려 내려와 서혜부 탈장이 생기거나, 선천적으로 배꼽 부위의 약해진 곳을 통해 탈장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반면에 성인의 경우에는 뱃속의 압력에 비해 이를 지탱하는 복벽의 힘이 약해 복벽에 구멍 및 틈새가 생겨 발생하게 됩니다. 


복벽의 힘이 약해지는 원인에는 비만, 만성 변비, 흡연 등이 있으며 중년층에서는 노화, 만성질환, 운동 부족 등의 원인이 있습니다.


 탈장의 종류

탈장은 발생부위/원인에 따라 서혜부 탈장, 대퇴탈장, 제대(배꼽)탈장, 반흔(절개부)탈장, 명치부 탈장 등이 있습니다.


 탈장의 증상

탈장이 발생한 부분(서혜부나 대퇴부, 배꼽 주변 등)에 불룩하게 튀어나온 덩어리가 만져지게 됩니다. 


또한 운동을 할 때나 걸을 때 묵직한 느낌이 들고 복부 팽만감, 소화불량 등을 경험하게 되고, 복통 또한 자주 일어 납니다. 복통의 원인은 튀어나온 장이 복벽 구멍에 끼어 빠지지 않아 장에 혈액순환이 안되거나 부종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복통인지 탈장인지 구별하기 위해 간단한 자가진단을 할 수 있습니다. 서 있는 자세에서 탈장이 의심되는 부위에 손을 대고 복압이 올라가게 배에 힘을 주거나 기침을 합니다. 이때 볼록 튀어나오는 것이 느껴지면 이는 탈장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탈장의 치료법

탈장은 복벽 근육층 사이로 튀어 나온 장기들이 본래 자리로 돌아 가지 못하고 꽉 조여 있게 되면 혈액 순환이 되지 않아 조직이 괴사하거나 장폐색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수술이 불가피 합니다. 


탈장 치료는 탈장을 덮고 있는 피부와 지방층을 가르고 탈장을 본래 자리를 잡도록 밀어 넣은 후 약해진 근육을 꿰매어 보강하게 되는데, 탈장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인공막을 이용하여 복벽을 강화하는 무장력 수술(tension - free repair)이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탈장 수술 후 주의사항

탈장의 정도나 수술 방법 등에 따라 입원 기간이 달라지기는 하나 대부분 2박 3일 정도 입원하게 됩니다. 


수술 부위에 통증과 염증을 예방하기 위해 약물이 처방되고, 수술 후 2주간은 복부에 힘이 들어 가지 않도록 무거운 짐을 들거나 심한 운동은 자제해야 합니다.


 탈장 수술 후 주의사항

  • 무거운 짐을 드는 것을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 기침은 복압을 상승 시키기 때문에 
    만성 기침 등을 치료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변비 또한 복압을 상승 시키기 때문에 
    변비가 걸리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 적절한 체중을 관리하여 비만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 적당한 운동은 탈장 예방에 좋습니다.

FAQ

다양하고 유익한 창문외과의
FAQ를 전해드립니다.


자세히 보러가기





서혜부탈장

서혜부탈장이란?

뱃속 내장은 자기 자리에 위치하여 복막으로 싸여 있지만 압력 등의 원인에 의해서 본래 위치에서 벗어나 

복벽의 약한 부분으로 튀어 나오게 됩니다. 이를 탈장 (Hernia)이라고 부릅니다. 

마치 풍선을 불 때 약한 부분으로 볼록 튀어나오는 현상과 비슷합니다.

튀어 나오는 위치에 따라 서혜부 탈장, 대퇴부 탈장, 제대 탈장, 반흔(수술한 부분 또는 상처)탈장 등이 있으며, 
치료 하지 않으면 조직 괴사나 장폐색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탈장 원인

유아의 경우에는 태생기에 있던 복막 주머니가 완전히 막히지 못하고 약하게 맞물려 있다가 

어떤 충격에 의해서 그 곳을 통해 장이 밀려 내려와 서혜부 탈장이 생기거나, 선천적으로 배꼽 부위의 약해진 곳을 통해 탈장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반면에 성인의 경우에는 뱃속의 압력에 비해 이를 지탱하는 복벽의 힘이 약해 복벽에 구멍 및 틈새가 생겨 발생하게 됩니다. 

복벽의 힘이 약해지는 원인에는 비만, 만성 변비, 흡연 등이 있으며 중년층에서는 노화, 만성질환, 운동 부족 등의 원인이 있습니다.


탈장의 종류

탈장은 복벽의 발생부위나 그 원인에 따라 서혜부 탈장, 대퇴탈장, 제대(배꼽)탈장, 반흔(절개부)탈장, 명치부 탈장 등이 있습니다.


탈장 증상

탈장이 발생한 부분(서혜부나 대퇴부, 배꼽 주변 등)에 불룩하게 튀어나온 덩어리가 만져지게 됩니다. 


또한 운동을 할 때나 걸을 때 묵직한 느낌이 들고 복부 팽만감, 소화불량 등을 경험하게 되고, 복통 또한 자주 일어 납니다.

복통의 원인은 튀어나온 장이 복벽 구멍에 끼어 빠지지 않아 장에 혈액순환이 안되거나 부종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그냥 복통인지 탈장인지 구별하기 위해 간단하게 자가진단을 할 수 있습니다. 

서 있는 자세에서 탈장이 의심되는 부위에 손을 대고 복압이 올라가게 배에 힘을 주거나 기침을 합니다. 

이때 볼록 튀어나오는 것이 느껴지면 이는 탈장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탈장의 치료법

탈장은 복벽 근육층 사이로 튀어 나온 장기들이 본래 자리로 돌아 가지 못하고 꽉 조여 있게 되면 혈액 순환이 되지 않아 

조직이 괴사하거나 장폐색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수술이 불가피 합니다.


탈장 치료는 탈장을 덮고 있는 피부와 지방층을 가르고 탈장을 본래 자리를 잡도록 밀어 넣은 후 약해진 근육을 꿰매어 보강하게 되는데 

탈장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인공막을 이용하여 복벽을 강화하는 무장력 수술(tension - free repair)이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탈장수술 후 주의사항

탈장의 정도나 수술 방법 등에 따라 입원 기간이 달라지기는 하나 대부분 2박 3일 정도 입원하게 됩니다. 

수술 부위에 통증과 염증을 예방하기 위해 약물이 처방되고, 수술 후 2주간은 복부에 힘이 들어 가지 않도록 무거운 짐을 들거나 심한 운동은 자제해야 합니다.


  탈장 재발 방지법
  • 무거운 짐을 드는 것을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 기침은 복압을 상승 시키기 때문에 만성 기침 등을 치료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변비 또한 복압을 상승 시키기 때문에 변비가 걸리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 적절한 체중을 관리하여 비만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 적당한 운동은 탈장 예방에 좋습니다.
CHANGMUN SURGERY
창문외과 협력병원